JAVA - 조건문 [ if / switch ]
조건문 중에는 if와 switch가 있다.
~~라면, 그렇지 않으면 이라는 내용이 들어가면 조건문을 사용해준다.
조건문 [ if-else ]
score 라는 멤버변수에 50을 저장해주고
- 점수가 80점 이상이면 A학점과 훌륭합니다. 를 출력
- 그렇지 않으면 B학점이라고 출력
위 조건을 if를 사용해서 출력해보자.
ex )
if (조건) {
위 조건이 맞으면
System.out.println("A학점"); 과
System.out.println("훌륭합니다."); 를 출력하고
}
else { 그렇지 않으면
System.out.println("B학점"); 을 출력한다.
}

score 점수는 50점이기 때문에 B학점이라고 출력이 된다.

조건문 [ 다중 if-else ]
조건이 여러가지 일 때에는 이렇게 쓴다.
if - else 로 끝나지 않고
if - else if - else 로 끝난다.
ex )
if (조건) {
위 조건이 맞으면
System.out.println("A"); 를 출력
} else if (조건) { 위 조건이 맞지 않고 이 조건이 맞으면
System.out.prinln("B") 를 출력
} else { 위 두 조건이 맞지 않으면
System.out.println("C"); 을 출력한다.
}

위와 같이 코드 작성을 해서 출력을 해보면
score(60)은 60이상이고 70 미만이기 때문에 C로 출력이 된다.
조건문 [ switch ]
아래의 예제는 if로 작성한 것인데
switch 로 코드작성을 해보자.

if에서는 else 를 썼다면
switch는 괄호 안에 조건이 필요한 수를 넣고
case 조건, case 조건, case 조건 ....를 사용한다.
case 1:
System.out.println("hello"); number가 1이면 hello를 출력
case 2:
System.out.println("bye"); number가 2이면 bye를 출력
default --> 그렇지 않으면 the end를 출력


[ switch ] break문
일치하는 case가 있으면 해당 코드가 실행이 되는데,
break문이 없으면 다음 case로 실행이 계속된다.
그렇기 때문에 case가 끝날 때 break를 입력해주면 종료가 된다.
즉, number = 2 라는 가정하에
number가 2와 같냐 라는 조건이 true이기 때문에 그 다음 조건을 실행하지 않는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AVA] : 배열(Array) – 자바에서 배열을 이해하고 활용하기 📚 (1) | 2025.02.25 |
|---|---|
| [IntelliJ-Java] : 부등식 연산 (1) | 2025.02.24 |
| [IntelliJ-Java] : 실수형 double, float (1) | 2025.02.24 |
| [IntelliJ-Java] : 데이터 바꾸기 (0) | 2025.02.24 |
| [IntelliJ-Java] : 프로젝트 생성, 텍스트 출력하기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