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 실수형 double, float
소수점으로 나오게 하는 double과 float이 있다.
변수 이름은 dnum과 fnum으로 해주고
double이 기본으로 사용되지만, float형도 있는데
float형으로 대입되는 3.14는 double이 아닌 float형 값이 대입된다는 의미로 f를 숫자 뒤에 붙여줘야한다.

▼

아래의 a와 b의 평균을 구하려고 하는데 int로 되어있기 때문에 소수점 뒷자리 수가 나오지 않는다.

▼

소수점 뒷자리 까지 나오게 하고싶으면 2.0 하면 된다.

▼

응용하기 :
a는 12, b는 13으로 저장되어있다.
12 나누기 13을 하면
0으로 나오게된다.
왜냐! a와 b는 int(정수) 로 되어있기 때문.
이럴 때 쓰는 게 double이다.
System.out.println( a / b );
해서 출력을 했다면, double을 추가해서 정수를 실수로 나오게 출력할 수 있다.
System.out.println((double) a / b );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IntelliJ-Java] : 조건문 ( if / switch ) (1) | 2025.02.24 |
|---|---|
| [IntelliJ-Java] : 부등식 연산 (1) | 2025.02.24 |
| [IntelliJ-Java] : 데이터 바꾸기 (0) | 2025.02.24 |
| [IntelliJ-Java] : 프로젝트 생성, 텍스트 출력하기 (0) | 2025.02.24 |
| [JAVA] 프로그램 작성 시 기본으로 알아줘야 할 규칙과 개념 (1)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