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행시켰을 때 에러가 나면, 종료시키지말고 잘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게 try / catch 이다.
import java.util.ArrayList;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에러가 났을 때, 프로그램을 종료시키지말고
// 잘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 try / catch / finally
ArrayList<String> nameList = null;
nameList.add("홍길동");
System.out.println("저장된 데이터 확인");
System.out.println(nameList.get(0));
}
}

finally는 써도 되고 안써도 된다.
익셉션 오류가 날 곳에 try로 묶고
오류가 발생하면 처리해줄 코드를 catch 안에 작성해준다.
그럼 오류가 발생한 문제를 java가 catch에 넣어준다.

try catch로 묶어줬기 때문에 기존에 있던 println 코드도 같이 묶어준다.

이렇게 하면 익셉션 오류를 처리할 수 있다!
'JAVA > JAVA (IntelliJ)'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AVA]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2 – 상속, 다형성, 인터페이스, 추상 클래스 (0) | 2025.03.03 |
|---|---|
| [JAVA] : 생성자(Constructor) / Getter와 Setter (0) | 2025.02.27 |
| [JAVA]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OOP) - 클래스, 메서드, 메서드 오버로딩 📦💻 (0)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