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인 메모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 객체 생성
클래스 만들어서 묶음 처리 한다.
툴이라고 한다.
MySQL에서는 테이블 만들고 그 안에 컬럼을 만들었다.
JAVA에서는 클래스를 만든다.
실행은 항상 main 함수 밑에서 실행한다.
함수 안에 있는 변수 p1 로컬변수 stack
객체 안에 있는 변수 id, name 멤버변수, 필드 heap 메모리
객체 생성
Product 라는 클래스를 생성하고 id와 name 을 변수로 지정

main 함수가 있는 ClassTest로 넘어와서
아이디는 1, 이름은 컴퓨터인 데이터를 만들어보자.
객체 생성을 하기 위해
= new Product 먼저 타이핑 해주고, 객체 이름을 p1으로 해주자.
그리고나서 아이디, 컴퓨터를 각각 id, namd에 저장해준다.
-> 여기서 id, name은 Product 클래스에 있는 멤버변수이다.

아래는 제품 정보를 여러개 만들어본 과정이다

메서드 - 화면출력
이제 위에서 만든 데이터를 "제품의 아이디는 1이고, 제품명은 컴퓨터 입니다." 라고 화면에 출력하고싶은데
총 4개의 제품을 아래와 같이 일일히 타이핑하기 번거롭다. 그럴 땐 함수를 만들어주면 된다.

Product 클래스에서 print 함수 생성하고 아래와 같이 원하는 문장과 id, name을 넣어주면 된다.
-> id, name 멤버변수에는 p1, p2, p3, p4의 메모리가 저장되어 있다.

다시 main 클래스로 돌아와서 각각 함수를 호출해서 실행해보면

결과가 잘 나온것을 확인할 수 있다.

Number 클래스 >

멤버변수 두개를 더해서 리턴하는 함수

main 클래스 >


위에서 멤버변수 두개를 더하는 함수를 만들었으니 그걸 사용해주면 된다. ↓



Number 클래스 >
멤버변수 두개의 평균을 구해서 리턴하는 함수

print 함수까지 만들어줬다.

n1에는 num1, num2 이 저장되어있다.
위에서 만들어준 avg 함수를 사용해주면 두 숫자의 평균을 구해준다.

그리고 print 함수까지 만들어줬기 때문에 두 숫자를 확인하고싶다면 아래처럼 사용해주면 된다.

'JAVA > JAVA 실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AVA] 실습 : 인터페이스(interface) 다중상속 (0) | 2025.03.03 |
|---|---|
| [JAVA] 실습 : static 키워드, 상속 extends (3) | 2025.03.03 |
| [JAVA] : 클래스|객체 생성|메서드 오버로딩 실습 (0) | 2025.02.27 |
| [JAVA] 실습 : 생성자, Getter, Setter / 폴더(패키지)로 클래스 관리하기 (0) | 2025.02.27 |
| [JAVA] : 배열(Array) 실습 (0) | 2025.02.25 |